첫 직장, 첫 월급. 설레는 마음만큼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막막한 사회초년생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첫 월급부터 실천할 수 있는 재테크 전략을 소개합니다.
작은 습관부터 시작해보세요.
10년 뒤 미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월급 통장을 분리하세요
첫 월급이 들어오면 통장을 3개로 분리하세요.
① 급여통장(수입),
② 저축통장(목표별 저축),
③ 소비통장(생활비).
계좌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돈이 목적별로 관리되며, 저축이 강제화됩니다.
2. 월급의 50%는 저축하라
첫 월급에서 최소 50%는 저축하세요.
처음부터 큰 금액을 써버리면 소비 습관이 고착됩니다.
부모님께 감사의 선물, 자기 보상용 소소한 지출은 괜찮지만, 본격적인 소비는 계획적으로 해야 합니다.
3. 비상금 6개월치 마련
언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 사회초년생 시절,
최소 6개월치 생활비는 비상금으로 CMA 통장이나 자유입출금 예금에 마련하세요.
이 비상금은 절대 투자나 소비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4. 적금·예금 상품 가입
적금·예금은 금리와 중도해지 조건을 꼼꼼히 비교하세요.
최근 온라인은행(예: 카카오뱅크, 토스뱅크)이 금리가 높고 수수료도 저렴합니다.
만약 매월 일정 금액이 부담스럽다면 '자유적금'을 추천합니다.
5. 소액 투자로 경험 쌓기
주식, ETF, 펀드 등은 소액으로 먼저 시작하세요.
사회초년생은 여유자금이 많지 않으므로,
1~2만 원씩 소수점 투자, 적립식 펀드 등으로 시장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카드 사용 주의
신용카드는 처음부터 쓰지 않거나, 한도와 결제일을 철저히 관리하세요.
체크카드를 주로 쓰면서 한 달 지출 한도를 정해두면 과소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7. 금융 교육·컨텐츠 활용
유튜브, 블로그, 온라인 강의 등에서 재테크 정보를 꾸준히 찾아보세요.
추천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슈카월드, 김짠부.
추천 도서: '부의 인문학', '돈의 속성'.
금융 공부는 20대에 시작할수록 자산 차이가 크게 벌어집니다.
마무리
첫 월급부터 현명하게 관리하면 사회초년생 시절의 불안정함을 극복하고,
더 빠르게 경제적 자유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오늘 당장 통장을 분리하고, 저축 목표부터 세워보세요. 미래의 당신이 고마워할 겁니다.
※ 본 글은 2025년 최신 금융 정보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